고관절염

소아의 결핵성 고관절염

소아의 결핵성 고관절염

고관절염

원인

폐결핵 환자의 약 3%는 골 또는 관절의 결핵을 앓는다.
결핵이 골관절을 침범하는 호발부위는 체중이 부과되는 척추, 고관절, 슬관절 등이다.
고관절결핵은 호흡기, 위장관을 통하여 혈액으로 들어와 고관절의 활막에 감염이 되거나 또는 결핵성 골수염이 대퇴골이나 비구에 있다가 관절로 번져서 생긴다.
결핵균은 화농성 균과는 달리 단백용해성 효소(proteolytic enzyme) 를 분비하 지 않기 때문에 염증반응이 심하지 않아 동통이나 전신증상의 발현이 심하지 않다는 점이 특징으로 감염 후 한참 지난 후에 병원 을 찾는 수가 많다.

증상

고관절부위나 슬관절부에 동통이 나타나는데, 특히 밤중에 동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낮에는 관절 주위 근육이 수축하여 관절운동을 제한시키므로 통증이 별로 없다가 밤에 잘 때는 관절운동을 제한시키는 근육의 긴 축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보행시에는 파행을 보여주고 진행되면 목발을 짚지 않고는 보행이 힘들어진다.

치료

초기에는 항결핵 제 및 관절안정(석고붕대)을 시키나 방사선 소견상 낭성 골파괴나 관절간격이 좁아진 정도면 항결핵제와 같이 활액막절제술을 할 수 있고, 관절파괴가 심하면 관절유합술을 하기도 한다.

세부 페이지



카테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