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 연골손상

반월상 연골손상

반월상 연골손상

반월상 연골손상
Human Knee Anatomy diagram

호발 부위

운동선수에 다발하며 내측에 더 잘 생긴다 (내측 : 외측 = 2∼7 : 1)

증상

동통 및 종창 : 손상 직후에는 통증으로 보행이 불가능해지거나 경기를 중단해야 하고 관절내 혈종(joint hemarthrosis) 에 의한 종창, 슬개유주(floating patella) 가 발생하며 관절내 삼출액이 증가한다.
압통 : 관절간격(joint line)을 따라서 손상된 부위에 일치하여 증명된다.
Locking : 출현과 소실이 순간적인 완전신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Giving way : 환자는 슬관절이 매우 불안정하게 느끼며 자갈길을 걸을 때, 계단을 내릴 때, 뛰어내릴 때 슬관절이 갑자기 무력해진다.
대퇴사두근위축 (quadriceps atrophy) : 수상후 시일이 경과한 증례에서 반드시 나타나며, 특히 내광근(vastus medialis) 의 위축이 현저하다.

진단

임상검사법 : McMurray 검사 / Apley 검사 / 웅크리기 검사 (squatting)
관절조영술 (arthrography)
관절경검사 (arthroscope)

치료

보존적 치료
급성기에는 우선 국소종창, 관절내 출혈 및 삼출액에 대한 처치를 한다. 인대강화를 위한 약침치료와 어혈제거를 위한 어혈침
그러나 반월상 연골손상이후가 더 문제일수 있다. 척추의 균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연골손상이후 척추 균형이 틀어지는 경우가 매우 많다.
수술적 치료
지속적인 슬관절통, 빈번한 locking, 장기간의 계속되는 완전신전의 불가능 등에서 수술의 적응이 된다.

세부 페이지



카테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