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저 근막염

정의
족저근막은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중요한 구조물인데 발뒤꿈치뼈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앞쪽으로 5개의 가지를 내어 발가락 기저 부위에 붙은 두껍고 강한 섬유띠를 말하다. 이러한 족저근막이 반복적인 미세 손상을 입어 근막을 구성하는 콜라겐의 변성이 유발되고 염증이 발생한 것을 족저 근막염이라 한다. 요사이 특별한 이유 없이 발병되고 검사상 특별한 소견이 없으며 이 족저근막의 염증으로 진단하는 경향이 많다
원인
발바닥의 아치가 정상보다 낮은 편평족(평발) 이나, 아치가 정상보다 높은 요족 변형이 있는 경우 족저근막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다리 길이의 차이, 발목의 변형 (발목이 과도하게 회내, 회외) 되는 경우는 결국 척추가 틀어져서 생기는 이차적 현상인데 이러한 결과가 족저근막염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이는 척추가 체중을 잘 유지하여야 하는데 척추가 틀어짐으로써 체중을 척추보다는 다리 특히 발바닥 쪽으로 과하게 실게 됨으로써 생겨나는 것이다.
따라서 갑작스럽게 운동을 많이 해서 생기는 족저 근막염도 이러한 척추의 틀어짐이 평소에 있었느냐 없었느냐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해부학적으로 뼈가 자라나거나 해서 생기는 족저근막염도 있으나 임상에서는 그리 많지 않다.
또한 척추가 오랫동안 틀어지게 되면 체형이 변하여 고관절과 슬관절의 내, 외회전을 초래하고 이것이 발목에 과도한 하중을 주면 결국 발목인대의 약화로 이어지는데 족저근막염 증상을 호소하는 상당수의 환자가 발목인대가 약해져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증상
전형적인 증상은 아침에 일어나 처음 발을 디딜 때 느껴지는 심한 통증이 특징적이다. 발바닥이 붓거나 저린 느낌을 호소하기도 한다.
통증은 주로 발꿈치 안쪽에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발뒤꿈치뼈 전내측 종골 결절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렇게 눌러봐서 통증이 있는 경우는 족저근막염이나 주변 인대 근육의 손상이나 염증을 의미하지만 증상은 족저근막염 증상이나 막상 눌러보면 별 통증이 없는 경우는 척추가 틀어져서 생긴 통증으로 의심해 보아야 한다.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족저근막을 신전시키면 통증이 심해지거나 움직일 때 통증을 많이 호소하면 근육의 문제로 보여진다.
진단
발뒤꿈치뼈 전내측 종골 결절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발생허가나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족저근막을 신전시키면 통증이 심해지거나 움직일 때 통증을 많이 호소하면 근육의 문제로 보여진다.
구체적인 압통이 없고 아침에 일어나면 묵직하게 아픈 통증, 붓거나 저린 느낌을 주로 호소하면 척추가 틀어져서 생기는 통증이다
치료
근육의 문제는 침치료나 한약치료로 염증을 풀어주고 소통시켜 주면 되므로 치료가 간단하다. 그러나 척추가 틀어졌을 때는 전체적인 척추의 틀어짐을 추나 요법으로 치료해야 하는데 평소 허리통증, 목통증이나 다른 부위의 통증이 있었을때는 추나요법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