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발 /편평족(Flatfoot)

족부의 종아치(longitudinal arch) 가 내려앉아서 족저부가 편평하게 되는 변형을 총칭하는 것으로, 변형의 유연성(flexibility) 여부와 비근(peroneal muscles) 의 경축(spasticity) 유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유연형 편평족 (flexible flatfoot)
체중부하시에만 종아치가 소실되는 형태로 많은 경우, 특히 소아기에는 증상이 없으나 사춘기 이후 동통이 발생할 수 있다.
정상비근의 강직형 편평족 (rigid flatfoot with normal peroneal muscles)
대개 족근골의 감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외상 등에 의한 2차적인 골성 강직이나 섬유성 강직으로 변형이 발생하며, 동통이 수반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경축성 비근의 강직형 편평족 (peroneal spastic flatfoot)
가장 흔한 원인은 선천성 기형의 하나인 족근골유합(tarsal coalition)이고, 이외에 족근골간 관절의 류마티스성 관절염, 결 핵, 외상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비근의 경축은 비정상적인 족부관절에 가해지는 자극을 방어하기 위해 반사작용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편평족은 객관적으로 어느 정도의 단계를 편평족이라 말하는 지 기준이 애매모호하다. 다만 약간의 편평족 경향에도 동통을 호소하는 사람이 있고 심한 편평족 양상이더라도 전혀 지장 없이 생활 하는 사람도 있다.
따라서 동통을 호소하는 경우에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통증 역시 척추에서 기인한 통증인지 감별하여야 한다.